본문 바로가기
파충류

🦎 파충류 테라리움 세팅법 – 건강한 환경을 만드는 법

by jltms 2025. 3. 14.

테라리움 -1

 

파충류를 키우기 위해서는 자연과 비슷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 하지만 처음 키우는 분들은 테라리움 세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사육장 크기부터 바닥재, 온습도 조절까지 꼼꼼하게 챙겨야 하기 때문이죠.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, 파충류 테라리움 세팅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

🏠 1. 테라리움 크기와 배치 – 공간 활용이 중요

파충류마다 서식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, 사육장 크기와 배치를 종에 맞춰 준비해야 합니다.

바닥 생활형(레오파드 게코, 볼파이톤) – 가로 공간이 넓은 테라리움 필요
수목 생활형(크레스티드 게코, 카멜레온) – 높이가 충분한 테라리움 필수
반수생형(수생 거북이, 일부 도마뱀 종) – 물과 육지를 함께 배치해야 함

📌 테라리움 내부 배치 TIP

  • 은신처: 파충류는 스트레스를 쉽게 받으므로, 몸을 숨길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합니다.
  • 바닥재: 종마다 적합한 바닥재를 선택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크레스티드 게코는 코코피트가 적합하고, 볼파이톤은 키친타월이나 신문지를 사용하기도 합니다.
  • 장식물 활용: 나뭇가지나 돌을 배치하면 자연과 비슷한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🌡️ 2. 온도 & 습도 조절 –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

파충류는 변온동물이기 때문에,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지 않으면 소화불량이나 면역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히팅패드 & 적외선 램프 활용

  • 낮과 밤의 온도를 다르게 설정해 자연스러운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.
  • 사육장 한쪽에만 열원을 배치해 파충류가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합니다.

📌 온도 세팅 가이드

  • : 26~32℃
  • : 22~26℃
  • 열원이 필요한 종(비어디드래곤, 볼파이톤 등) – 히팅패드와 스팟 램프 사용

습도 유지 방법

  • 수목형 파충류(크레스티드 게코, 카멜레온) → 하루 1~2회 분무 필수
  • 사막형 파충류(비어디드래곤) → 물그릇만으로도 충분
  • 바닥재에 코코피트나 이끼를 추가하면 습도 조절이 쉬워짐

📢 : 온습도계를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환경 변화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!


💡 3. 조명과 유지 관리 – 건강한 성장 환경 만들기

조명 선택 방법

  • UVB 조명 필요 O: 비어디드래곤, 육지 거북이
  • UVB 조명 필요 X: 레오파드 게코, 볼파이톤 (낮밤 주기 조절만 필요)
  • 조명 유지 시간: 하루 10~12시간 (야행성 종은 밤에만 적외선 램프 사용 가능)

테라리움 유지 관리

  • 배설물은 매일 청소하여 위생 유지
  • 바닥재는 한 달에 한 번 교체
  • 은신처와 물그릇은 주기적으로 소독

📢 중요! 테라리움이 청결하지 않으면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생겨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
🏆 마무리 – 테라리움 세팅 체크리스트

✅ 종에 맞는 크기의 테라리움 준비
✅ 바닥재, 은신처, 나뭇가지 등 필수 구성품 배치
✅ 온습도 조절 필수! 온도는 26~32℃, 습도는 종별로 맞추기
✅ UVB 조명 사용 여부 확인 후 조명 세팅
✅ 주기적인 청소 & 환경 유지

🐢🐍🦎 파충류도 적절한 환경이 갖춰지면 더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. 여러분의 반려 파충류를 위한 최적의 테라리움을 직접 꾸며보세요! 😊